Welcome

새로운소식

주민등록번호 대신 쓸 수 있는 인증 수단으로 사용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아이핀을 확대 적용한다는 얘기가 나와 논란이 예상된다.
 
아이핀을 오프라인에서도 쓸 수 있게 한다는 얘기도 들리는데, 이는 비현실적일 뿐더러 사용자 혼란과 불편을 심화시키는 땜질식 처방이라는 지적도 있다.
 
13일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국회 정무위원회 '개인정보 대량유출 관련 실태조사 및 재발방지를 위한 국정조사' 기관보고에 참석해 "아이핀을 오프라인에서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유 장관의 발언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선 아이핀이 운영되는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나온 발상이라는 지적들이 쏟아졌다.
 
'인터넷 개인 식별 번호(Internet Personal Idetification Number, i-PIN)'를 의미하는 아이핀은  인터넷에서 주민번호 대신 개인을 확인하기 위한 대체수단으로 지난 2005년 도입됐다.
 
주민번호와 다른 점은 유출됐을 경우에 재발급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장점은 오프라인에서는 '독'이 될 수 있다.

회원가입 등을 위해 아이핀용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각 사이트 마다 13자리 숫자로 이뤄진 '가상식별번호'가 부여된다. 그러나 사용자는 13자리 번호를 몰라도 된다. 13자리 번호는 서비스 제공 업체가 아이핀 발급 기관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본인이 맞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오프라인에선 얘기가 달라진다. 유 장관의 발언은 아이핀용 13자리 번호를 갖고 오프라인에서 주민번호 대신 쓸 수 있게 한다는 건데, 오버라는 지적이 만만치 않다.
 
우선 사용자는 온라인과 달리 은행, 동사무소, 병원에 갈 때마다 서로 다른 13자리 번호를 외우고 있어야 한다.

아이핀 전문가 A씨에 따르면 인터넷 상에 활용되고 있는 아이핀은 한번 만들면 ID와 비밀번호는 그대로 쓰이지만 13자리 번호는 가입한 사이트마다 제각각이다. 그런 만큼, 실제 현장에서 주민번호 대신 아이핀 번호를 쓰자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것이다. 외우기도 쉽지 않고, 적용하는 프로세스도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원문보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