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lcome

자유게시판


지난 25일부터 29일까지 스위스의 고급 휴양지 다보스에서는 세계 유명 인사들이 참여하는 세계경제포럼(WEF)이 개최됐다. 올해 포럼에서는 세계 경제위기를 의식해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를 적극 옹호했던 과거의 태도에서 벗어나 자본주의의 문제를 찾는 시도가 이어졌지만, 명확한 결론을 찾는 데는 실패했다.

이러한 가운데 세간의 박수를 받은 이는 세계 빈곤퇴치를 위해 전면에 나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 빌 게이츠였다. 빌 게이츠는 포럼 기간 중 기자회견을 열어 에이즈, 결핵 퇴치 등을 위해 설립된 기금에 7억5000만 달러(약 8430억 원)을 기부하겠다고 밝혀 '통큰 자선가'의 면모를 보였다. 선진국들이 경제 위기를 빌미로 최빈국 원조에서 발을 빼는 분위기에서 게이츠는 경제 위기는 '핑계'가 될 수 없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영국의 코미디언이자 사회 운동가인 로버트 뉴먼은 '바람직한 부자'의 모범이 되고 있는 게이츠의 '불편한 진실'을 드러내는 악역을 맡았다. 뉴먼은 27일(현지시간) <가디언>에 기고한 칼럼에서 질병 퇴치를 위한 부자들의 노력을 깎아내리는 것은 아니라면서도, 그들의 자선 행위가 최빈국의 삶을 개선시키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뉴먼은 게이츠와 같은 재벌들의 자선 재단이 원조를 핑계로 농민들에게 더 큰 피해를 입히고 있는 유전자 변형 작물의 재배를 시험하고 있는 문제를 지적했다. 또 과거 MS가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규제에 반발했던 사례를 상기시키며 게이츠가 내놓은 수억 달러의 돈이 정말 순수한 자신의 돈인지에 대해서도 숙고할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뉴먼은 빈곤층이 가장 원하는 것은 자선이 아닌 정의의 실현이라고 주장하면서 언제 마음이 변할지 모르는 억만장자의 기부에 의지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다음은 이 칼럼의 주요 내용이다.


출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이슈 팟캐스트 모음 스퀘어랩 2012-02-02 118464